2023/06 5

[JSP&Servlet] intellij에서 new servlet 문제

대부분 JSP&Servlet 책을 보면 eclipse를 이용해서 하지만 필자는 intellij에서 하고 싶어서 환경 세팅을 하는 중 2일간의 삽질 끝에 재미있는 사실을 알아냈다. 먼저 영상에서는 java enterprise나 web application 등으로 만드는데 필자가 사용하는 버전은 2023.1버전으로 여기서는 jakarta EE로 만들면 우리가 원하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jakarta EE로 만드는 법은 검색하면 잘 나옴) 또한 저렇게 한 후 new servlet을 통해 서블릿 파일을 만드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2023.1 버전에서는 지원을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만약 사용하고 싶다면 내가 메뉴를 만들어 줘야 한다. 그 예시는 아래 링크로 걸어놓는다. Cannot create servle..

Java/JSP&Servlet 2023.06.29

[Node.js] 폴더 구조

node.js를 공부하다가 public폴더의 역할과 폴더 구조가 궁금해서 조금 알아보았다. 일단 폴더 구조를 사진으로 먼저 보자! 일반 public폴더의 의미는 클라이언트에게 줄 static파일들을 모아둔 곳이다. static file은 자바스크립트 파일이나 이미지 파일, css 파일과 같은 파일을 말한다. 여기에 있는 파일은 주소를 이용해서 접근이 가능하다. 이때 주소는 파일경로에서 public을 빼고 들어가면 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경우 원래 경로는 localhost:8001/public/main.css이지만 접속은 public을 제외한 localhost:8001/main.css로 접속하면 파일을 볼 수 있다. views폴더에는 html을 넣는다. 여기서 html도 같이 pulbic에 두면 안..

node.js 2023.06.23

Node.js 14버전 설치

node.js를 설치할 때 홈페이지만 보면 최신버전만 나온다. 혹시나 다른 버전을 설치하고 싶은 사람은 이 글을 참고해서 보길 바란다. Index of /dist/ nodejs.org 먼저 위 링크로 들어가면 node.js의 모든 버전이 나온다. 여기서 본인이 원하는 버전을 선택해 클릭한다. 필자는 v14가 필요해서 밑 사진처럼 빠간 동그라미쳐진 곳을 클릭했다.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파일들이 나오는데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파일을 클릭하면 된다. 윈도우의 경우 빨간 동그라미쳐진 .msi 확장자가 달린 파일을 설치하면 된다. zip파일을 원하면 zip으로 설치해도 된다. 자신의 컴퓨터가 64비트인지 32비트인지 확인한 후 맞게 설치하면 된다. 리눅스는 gz나 xz를 설치하면 된다. 리눅스를 사용하는 사람..

node.js 2023.06.17